16회 부산평화제가 2025년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개최될 예정입니다. 이에 작년 영화제 상영작들을 다시 함께 관람하고 작품에 관련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 이번 6월부터 9월까지 매월 첫 번째 화요일 오후 7시에 만날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일시 및 상영작 1회차 - 2025년 6월 10일(화) 19:00 <극장판 고래와 나> 2회차 - 2025년 7월 1일(화) 19:00 <마이디어>, <천사와 드라이브> 3회차 - 2025년 8월 5일(화) 19:00 <조선인 여공의 노래> 4회차 - 2025년 9월 2일(화) 19:00 <짱뚱이네 똥황토>, <복순씨의 원데이 클라쓰>
2. 공모 요강 - 접수 기간: 2025년 4월 28일(월) 10시 ~ 6월 9일(월) 18시 - 출품 자격: 평화와 관련된 내용으로 2024년 1월 이후 제작 완료된 작품 작품 길이와 장르는 제한 없음 반차별, 반폭력, 반전, 환경, 나눔/공동체, 남북관계/통일 등 평화에 관한 함의를 담고 있어야 함
3. 시상 내역 - 꿈꾸는 평화상 (상금 200만 원과 상패) - 단편 우수상 (상금 100만 원과 상패) - 장편 우수상 (상금 100만 원과 상패) - 도란도란 관객상 (상품과 상패) ※ 공동수상의 경우 상금은 균등 분배함
4. 접수 방법 - 개인 출품은 온라인으로 출품 신청 페이지에 답변을 작성한 후 제출함 - 단체출품은 영화제 홈페이지 공모전 공지 게시글에서 양식을 다운로드하여 사무국 메일로 제출하여 접수함 ★ 출품신청서 링크 : bit.ly/16회부산평화영화제공모전
5. 문의처 - 이메일 bsokedongmu@naver.com - 전화 051-469-8451 (문의 시간: 화~금 오전 10시 ~ 오후 6시)
지구에서 들려오는 전쟁의 소식이 이게 마지막이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영화제를 마쳤지만, 올해 다시 우크라이나의 비극이 시작되었습니다. 전쟁의 아우성이 끝나지 않는 이 세상에 우리는 ‘모질게 다시’ 마음을 가다듬습니다. 늘 그렇듯이 부산평화영화제는 반전, 반폭력, 생명과 환경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영화제입니다. 올해는 저희의 미력한 힘을 모아 우크라이나에 평화를 기원하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개막작은 발렌틴 바스야노비치 감독의 <리플렉션>을 선택하였습니다. 전쟁이 한 개인의 육체와 영혼에 어떤 상처들을 남기는지 함께 사유하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그리고 좀 더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듣고자 재한 우크라이나인 리트비노프 님을 모시고 개막식에서 대화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올해 13번째 우리의 슬로건처럼, “모질게 다시” 다짐하는 마음을 담아 영화를 준비했습니다.
기획전에서는 재일 외국인의 인권과 투쟁을 기록하는 고찬유 감독의 새로운 작품 <우리는 인간이다>, 부산민주화투쟁을 담은 이동윤 감독의 영화 <10월의 이름들>, 세월호의 현장과 강정마을의 화면 위로 피아노 선율을 얹히는 작업을 한 오재형 감독의 영화 <피아노 프리즘>을 상영합니다. <피아노 프리즘> 상영 후 공연도 준비하였습니다. 경쟁부분의 본선 심사위원을 맡은 김이석 님이 카르트 블랑슈 섹션에서 선정한 영화는 미카엘 하네케 감독의 <하얀리본>입니다. 올해 경쟁부문은 공모전에 출품한 총 851편의 응모작 가운데 선정된 15편의 영화를 상영합니다.
올해도 대면의 축제성과 비대면의 확장성을 동시에 기획하였습니다.
‘BNK아트시네마 모퉁이극장’과 ‘보수동책방골목 어린이도서관’, ‘고맙습니다.글마루작은도서관’에서 평화 영화를 만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인디그라운드 온라인 상영관을 통해 관객이 시간과 장소를 선택해 작품들을 볼 수도 있습니다.
나날이 지구적 평화의 조건이 매우 열악해져 가지만 평화를 향한 우리의 의지는 더욱 굳건히 다져 나가야 한다는 절실한 마음을 담았습니다. 지금 여기 함께하고 있는 우리들의 작은 공감 속에 서 평화의 열기가 우리 지역사회를 넘어 한반도로, 아시아로, 그리고 세계로 펴져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역사의 향기 그윽한 부산의 옛 도심 여러 곳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부산평화영화제는 올해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상영은 BNK부산은행 아트시네마 모퉁이극장에서, 온라인 상영은 인디그라운드를 통해 접할 수 있습니다. 작년과 달리 올해는 개막식과 폐막식을 오프라인으로만 진행합니다.
그동안 코로나로 현장의 감흥을 즐기지 못한 아쉬움을 올해는 말끔히 털어내었으면 합니다.
올해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전면전으로 번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지구의 평화를 크게 위협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의 시민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은 오래전에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올해의 개막작은 2014년 돈바스 전쟁이 우크라이나인들의 일상에 가져온 아픔을 극적으로 다룬 영화 <리플렉션>으로 정했습니다. 개막식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기원하는 간단한 플래시몹 행사도 진행할 예정이니 많이 참석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영화를 통해 평화의 가치를 함께 나누려는 작은 뜻을 모은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13년째가 되었습니다. 그동안 우여곡절이 없지는 않았으나 여러분과 함께한 지난 여정은 감동 그 자체였습니다. 이 세상의 모든 고귀한 생명이 평화로운 삶을 누리는 그날까지 부산평화영화제는 발걸음을 멈추지 않겠습니다.
저희는 올해도 최선을 다해 영화제를 준비했습니다. 즐기고 나누는 것은 여러분들의 몫입니다.
부산평화영화제 앵콜전 👏
<평화 영화 정기 상영회> 안내
16회 부산평화제가 2025년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개최될 예정입니다.
이에 작년 영화제 상영작들을 다시 함께 관람하고 작품에 관련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
이번 6월부터 9월까지 매월 첫 번째 화요일 오후 7시에 만날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일시 및 상영작
1회차 - 2025년 6월 10일(화) 19:00 <극장판 고래와 나>
2회차 - 2025년 7월 1일(화) 19:00 <마이디어>, <천사와 드라이브>
3회차 - 2025년 8월 5일(화) 19:00 <조선인 여공의 노래>
4회차 - 2025년 9월 2일(화) 19:00 <짱뚱이네 똥황토>, <복순씨의 원데이 클라쓰>
★ 1회차 상영을 제외한 나머지 회차들은 매월 첫째주 화요일 오후 7시입니다.
✅장소
BNK부산은행 아트시네마 모퉁이극장
(부산 중구 광복중앙로 13, 3층)
✅관람 비용
무료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링크)
✅문의
유선 051-469-8451
오픈채팅 (링크)
안녕하세요, 부산평화영화제 사무국입니다.
오랫동안 저희 영화제에 따뜻한 관심과 응원을 보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네이버 모두 서비스 종료로 인해, 부산평화영화제 공식 홈페이지가 새로운 모습으로 이전했습니다.
새로운 홈페이지에서도 기존 홈페이지와 동일한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기존 홈페이지(네이버 모두)는 2025년 6월 26일(목)까지 운영될 예정이며, 이후에는 접속이 종료됩니다.
앞으로 부산평화영화제의 새로운 소식과 공지는 새 홈페이지를 통해 전달드릴 예정이니, 많은 방문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올해 16회 부산평화영화제에도 변함없는 성원 부탁드리며, 새로운 홈페이지에서 더욱 풍성한 영화 축제를 함께 만들어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부산평화영화제 사무국 드림
[16회 부산평화영화제 작품 공모 안내]
1. 영화제 개최 일자
- 2025년 10월 24일(금) ~ 10월 26일(일)
2. 공모 요강
- 접수 기간: 2025년 4월 28일(월) 10시 ~ 6월 9일(월) 18시
- 출품 자격:
평화와 관련된 내용으로 2024년 1월 이후 제작 완료된 작품
작품 길이와 장르는 제한 없음
반차별, 반폭력, 반전, 환경, 나눔/공동체, 남북관계/통일 등 평화에 관한 함의를 담고 있어야 함
3. 시상 내역
- 꿈꾸는 평화상 (상금 200만 원과 상패)
- 단편 우수상 (상금 100만 원과 상패)
- 장편 우수상 (상금 100만 원과 상패)
- 도란도란 관객상 (상품과 상패)
※ 공동수상의 경우 상금은 균등 분배함
4. 접수 방법
- 개인 출품은 온라인으로 출품 신청 페이지에 답변을 작성한 후 제출함
- 단체출품은 영화제 홈페이지 공모전 공지 게시글에서 양식을 다운로드하여 사무국 메일로 제출하여 접수함
★ 출품신청서 링크 : bit.ly/16회부산평화영화제공모전
5. 문의처
- 이메일 bsokedongmu@naver.com
- 전화 051-469-8451 (문의 시간: 화~금 오전 10시 ~ 오후 6시)
2025년 16회 부산평화영화제(BPFF) 공모전 출품 신청서_단체출품.xlsx
19KB2023 제14회 부산평화영화제 공식경쟁부문 출품규정
1. 개최 일자: 2023년 10월 26일(목) ~ 10월 29일(일), 4일간
2. 시상 내역
평화상(대상) (상금 200만원과 상패)
장편 우수상 (상금 100만원과 상패)
단편 우수상 (상금 100만원과 상패)
도란도란 관객상 (상품과 상장)
※ 공동수상의 경우 상금은 균등 분배한다.
3. 출품 안내
1) 출품자격: 평화(반차별, 반폭력, 반전, 환경, 나눔/공동체, 남북관계/통일)에 관한 함의를 담고 있는 2022년 1월 이후 제작 완료된 작품이어야 한다.
작품의 길이와 장르의 제한 없이 누구나 출품 가능하다. 동일 작품으로 본 영화제에 출품한 경력이 있을 경우 심사에서 제외할 수 있다.
2) 접수 기간: 2023년 4월 4일(화) 오전 10시 ~ 2023년 5월 31일(수) 오후 6시
3) 접수 방법
• 온라인으로 출품 신청 페이지(구글 설문지)에 답변을 작성한 후 제출한다.
• 출품 신청 페이지 링크: https://apply.do/hih8
4) 심사용 스크리너 제출 안내
• 최종 상영본과 동일해야 한다.
• 온라인 스트리밍 링크 주소를 출품 신청 페이지에 함께 기입한다.
• 파일 전송 또는 CD 제출로는 접수 받지 않는다.
• 출품작 정보와 온라인 스트리밍 링크 주소를 모두 기입해야 출품신청이 완료된다.
[업로드 및 링크 생성 방법]
동영상 공유 사이트(ex.비메오, 유튜브, 구글 드라이브 등)에 파일을 업로드한 후 온라인으로 재생이 되는 지 확인한 후 페이지 링크와 비밀번호가 있을 경우 함께 기입한다.
5) 최종 상영본
• DCP를 우선으로 하며, 없을 경우 고화질 파일[MOV:ProRes 422(HQ) 등]을 상영본으로 한다. 이외의 상영 포맷일 경우 사무국과 논의한다.
4. 작품선정
• 작품선정은 부산평화영화제 프로그래머와 예심위원단의 책임과 권한 아래 이루어진다.
• 예선 심사에 통과된 경쟁부문 선정 작품은 제14회 부산평화영화제 공식경쟁부문에 상영되며, 상영을 취소할 수 없다.
• 경쟁부문 예선 심사 결과는 부산평화영화제 공식 홈페이지에 공지한다.
• 출품작은 비경쟁 부문에 상영될 수 있다.
5. 심사
• 예선 심사: 작품의 길이와 장르에 상관없이 공식경쟁부문의 상영작을 10편 내외로 선정한다.
• 예선 심사 발표일: 2023년 8월 말경 홈페이지에 공고하며, 상황에 따라 일정이 변경될 수 있다.
• 본선 심사: 3개 부문의 수상작을 결정한다.
• 관객상은 영화제 기간 관객 투표 점수를 합산하여 선정한다.
6. 저작권
• 출품작에 사용된 음악, 영상, 이미지 등에 관한 저작권은 출품자가 직접 해결해야 하며 영화제는 저작권의 침해로 야기될 수 있는 법률적인 문제에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는다.
7. 자료 활용
• 부산평화영화제는 제출된 상영작 정보를 비상업적인 용도 및 영화제 홍보용으로 쓸 수 있다. (예: 인쇄물, 웹사이트, 홍보 영상)
• 상영이 확정된 후 상영작의 저작권 혹은 배급 권한을 가진 자가 동의할 경우 부산평화영화제는 상영작 사본을 보관하여 내부 연구 및 참고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단, 공개 상영을 원할 때는 해당 작품의 감독 또는 배급사와 협의하여 허가를 받는다.
8.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부산평화영화제는 출품작 심사 및 상영, 홍보를 위해 출품신청서의 개인정보를 수집한다.
• 개인정보 처리 목적이 달성된 후에 개인정보를 파기한다.
9. 출품규정 동의
• 온라인으로 출품신청서를 제출함과 동시에 부산평화영화제 출품 규정을 읽고 이해하였으며 이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한다.
◎ 문의처
- 수신자 : 부산평화영화제 사무국
- 주 소 : (48967) 부산시 중구 대청로 57-16 보수동책방골목 어린이도서관 4층
- 전 화 : 051-819-7942 (문의 시간: 화~금 오전 10시 ~ 오후 6시)
- 이메일 : bsokedongmu@naver.com
지난 부산평화영화제는 미얀마의 민주화 투쟁과 함께했습니다.
지구에서 들려오는 전쟁의 소식이 이게 마지막이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영화제를 마쳤지만, 올해 다시 우크라이나의 비극이 시작되었습니다. 전쟁의 아우성이 끝나지 않는 이 세상에 우리는 ‘모질게 다시’ 마음을 가다듬습니다. 늘 그렇듯이 부산평화영화제는 반전, 반폭력, 생명과 환경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영화제입니다. 올해는 저희의 미력한 힘을 모아 우크라이나에 평화를 기원하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개막작은 발렌틴 바스야노비치 감독의 <리플렉션>을 선택하였습니다. 전쟁이 한 개인의 육체와 영혼에 어떤 상처들을 남기는지 함께 사유하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그리고 좀 더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듣고자 재한 우크라이나인 리트비노프 님을 모시고 개막식에서 대화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올해 13번째 우리의 슬로건처럼, “모질게 다시” 다짐하는 마음을 담아 영화를 준비했습니다.
기획전에서는 재일 외국인의 인권과 투쟁을 기록하는 고찬유 감독의 새로운 작품 <우리는 인간이다>, 부산민주화투쟁을 담은 이동윤 감독의 영화 <10월의 이름들>, 세월호의 현장과 강정마을의 화면 위로 피아노 선율을 얹히는 작업을 한 오재형 감독의 영화 <피아노 프리즘>을 상영합니다. <피아노 프리즘> 상영 후 공연도 준비하였습니다. 경쟁부분의 본선 심사위원을 맡은 김이석 님이 카르트 블랑슈 섹션에서 선정한 영화는 미카엘 하네케 감독의 <하얀리본>입니다. 올해 경쟁부문은 공모전에 출품한 총 851편의 응모작 가운데 선정된 15편의 영화를 상영합니다.
올해도 대면의 축제성과 비대면의 확장성을 동시에 기획하였습니다.
‘BNK아트시네마 모퉁이극장’과 ‘보수동책방골목 어린이도서관’, ‘고맙습니다.글마루작은도서관’에서 평화 영화를 만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인디그라운드 온라인 상영관을 통해 관객이 시간과 장소를 선택해 작품들을 볼 수도 있습니다.
“모질게 다시” 우리의 발걸음을 내디딜 때 함께 그 손을 잡아주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부산평화영화제 프로그래머 박지연
제13회 부산평화영화제를 열며
제13회 부산평화영화제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올해의 표어는 ‘모질게, 다시’로 정했습니다.
나날이 지구적 평화의 조건이 매우 열악해져 가지만 평화를 향한 우리의 의지는 더욱 굳건히 다져 나가야 한다는 절실한 마음을 담았습니다. 지금 여기 함께하고 있는 우리들의 작은 공감 속에 서 평화의 열기가 우리 지역사회를 넘어 한반도로, 아시아로, 그리고 세계로 펴져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역사의 향기 그윽한 부산의 옛 도심 여러 곳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부산평화영화제는 올해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상영은 BNK부산은행 아트시네마 모퉁이극장에서, 온라인 상영은 인디그라운드를 통해 접할 수 있습니다. 작년과 달리 올해는 개막식과 폐막식을 오프라인으로만 진행합니다.
그동안 코로나로 현장의 감흥을 즐기지 못한 아쉬움을 올해는 말끔히 털어내었으면 합니다.
올해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전면전으로 번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지구의 평화를 크게 위협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의 시민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은 오래전에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올해의 개막작은 2014년 돈바스 전쟁이 우크라이나인들의 일상에 가져온 아픔을 극적으로 다룬 영화 <리플렉션>으로 정했습니다. 개막식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기원하는 간단한 플래시몹 행사도 진행할 예정이니 많이 참석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영화를 통해 평화의 가치를 함께 나누려는 작은 뜻을 모은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13년째가 되었습니다. 그동안 우여곡절이 없지는 않았으나 여러분과 함께한 지난 여정은 감동 그 자체였습니다. 이 세상의 모든 고귀한 생명이 평화로운 삶을 누리는 그날까지 부산평화영화제는 발걸음을 멈추지 않겠습니다.
저희는 올해도 최선을 다해 영화제를 준비했습니다. 즐기고 나누는 것은 여러분들의 몫입니다.
부디 편히 오셔서 한가을에 펼쳐지는 평화의 향연을 마음껏 즐겨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10월
부산평화영화제 집행위원장 박홍원